조회 수 104

 

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변산해변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 부안청자박물관과 내소사를 거쳐 분안의 대표 관광지인 격포해수욕장 격포 채석강에 도착했다.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고, 2004년 11월 17일 명승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12만 7372㎡이며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맨 서쪽, 격포항 오른쪽 닭이봉 밑에 있다. 옛 수군(水軍)의 근거지이며 조선시대에는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관하의 격포진(格浦鎭)이 있던 곳이다.

퇴적암층이 절경인 격포 채석강은 기암괴석들과 수천 수 만권의 책을 차곡차곡 포개 놓은 듯한 퇴적암층 단애로, 이곳의 경치가 당나라 이태백이 배 타고 술 마시다가 물에 뜬 달을 잡으려다 빠져 죽었다는 중국의 채석강(彩石江)과 그 모습이 흡사해 채석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격포 채석강은 썰물 때 드러나는 변산반도 서쪽 끝 격포항과 그 오른쪽 닭이봉(200m)일대의 층암절벽과 바다를 총칭하는 이름이다. 

 

채석강은 전라북도에 거주했던 사람들이라면 한두번 이상은 모두 가보았을 정도로 전라북도 부안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가볼만한 곳도 별로 없었던 예전에는 버스를 타고 다녀왔던 연인들의 데이트와  MT장소로도 유명했던 곳이다. 그런데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격포 채석앙을 연인과 함께 다녀오면 헤어진다는 루머도 있었는데 필자도 두번 데이트를 다녀왔는데 둘 다 헤어졌다.  

 

 

억겁의 세월을 파도에 씻겨 온 바위는 깎이고 씻겨 해식단애의 아름다운 절벽을 이루었으며, 절벽은 다시 씻겨 동굴을 이루었다. 이렇듯 대자연의 신비와 비밀을 간직한 채석강은 외변산 제일의 경관이다.

 

 

부안채석범주 일원은 변산반도에서 서해바다 쪽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지역으로 강한 파랑의 영향으로 형성된 곳이다. 높은 해식애 및 넓은 파식대, 수 만권의 책을 정연히 올려놓은 듯한 층리 등 해안지형의 자연미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파식대, 해식애, 해안단구 및 화산암류, 습곡 등은 과거 화산활동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약 7,000천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부터 바닷물의 침식을 받으면서 쌓인 이 퇴적암은 격포리층으로 역암 위에 역암과 사암, 사암과 이암의 교대층, 셰일, 화산회로 이루어졌다. 이런 퇴적 환경은 과거 이곳이 깊은 호수였고, 호수 밑바닥에 화산분출물이 퇴적되었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또 이 절벽에서 단층과 습곡, 관입구조, 파식대 등도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지형과 지질학습에 좋다.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만들어진 해식애, 평평한 파식대, 해식동굴도 발달했다. 채석강 바닥에는 지각과 파도의 합작품인 돌개구멍이 발달했는데, 밀물 때 들어온 바닷물이 고여서 생긴 조수웅덩이도 곳곳에 있다.
전라북도 지질공원

 

 

누군가 마시다가 버려두고 간 플라스틱 용기~~~~물론 깜빡했겠지만 물고기의 배속에서 페트병이 나오는 등 바다가 해양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병들어 가고 있는 참담한 상황을 방송에서 많이 보았을텐데 우리는 작은 것 하나라도 실천에 옮기며 우리의 바다를 구해야 한다는 생각에 주워가지고 와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버렸다.

 

누군가 마시다가 버려두고 간 플라스틱 용기~~~~물론 깜빡했겠지만 물고기의 배속에서 페트병이 나오는 등 바다가 해양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병들어 가고 있는 참담한 상황을 방송에서 많이 보았을텐데 우리는 작은 것 하나라도 실천에 옮기며 우리의 바다를 구해야 하지 않을까?

 

채석강을 잘 볼 수 있는 팁이라면 홈페이지를 통해 썰물이 되는 시간대를 맞춰가는 것이 좋다. 물이 빠지는 썰물때가 되면 채석강 바위 아래도 내려가 퇴적암을 잘 볼 수 있다. 그리고 채석강이 있는 격포항에서 격포 해수욕장까지 약 2Km정도 바닷가를 거닐 수도 있다. 이 길을 걸으며 채석강의 퇴적암도 보고 중간에 있는 해식동굴까지 볼 수 있는데 격포항쪽의 채석강의 바위가 험하고 물이차면 들어갈 수 없으니 물이 빠지는 썰물 시간에 격포해수욕장에서부터 걸어 들어가는 것이 좋다.
부안군 홈페이지 채석강

 

멀리 격포항 방파제와 등대가 보인다.

 

 
채석강은 여름철 해수욕을 즐기기도 좋고 수상레저를 즐길 수 있는 명소로 사진촬영이나 영화촬영도 자주 이루어진다. 바다생물과 해식동굴의 신비로운 모습채석강은 하루 두 차례 물이 빠지면 들어갈 수 있는데, 간조 때는 물 빠진 퇴적암층에 다닥다닥 붙어있는 바다생물과 해식동굴의 신비로운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간조 때 해식동굴에서 바라보는 낙조와 노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답다.
부안군 홈페이지

 

격포해수욕장에서는 모터보트를 타고 사자바위, 적벽강, 채석강해식동굴 등을 돌아 볼 수 있다.

 

채석강에서 보이는 적벽강, 이제 중국의 적벽강만큼 경치가 좋다는 적벽강으로 간다.

적벽강은 채석강과 연이은 격포해수욕장을 지나 후박나무 군락이 있는 연안을 거쳐 수성당이 있는 용두산을 돌아 대마골여우골을 감도는 2㎞ 가량의 해안선이다.



  1. 부안 곰소염전 소금창고

    전북 부안군 진서면에 소재하고 있는 국내 최고의 찬일염 생산지인 곰소염전은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하늘과 태양 아래 자연과 사람이 정성으로 만들어내는 곰소 천일염은 람사르 서해갯벌 바닷물을 태양열로 증발·건조시켜 만들어 깨끗하...
    Date2023.06.06 By전북넷 Views319
    Read More
  2. 변산8경 서해낙조 명소 변산해수욕장 사랑의 낙조공원

    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30번 국도를 타고 변산해수욕장에 다다를 무렵 언덕위에 세워져 서해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팔각정이 보인다. 낙조가 아름다운 변산해수욕장에서 해넘이 행사가 열리는 사랑의 낙조공원 팔각정이다. 변산팔각정 이라고 불렀던 기억이 ...
    Date2022.08.29 By전북넷 Views133
    Read More
  3. 부안 격포해수욕장 채석강

    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변산해변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 부안청자박물관과 내소사를 거쳐 분안의 대표 관광지인 격포해수욕장 격포 채석강에 도착했다.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고, 2004년 11월 17일 명승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면...
    Date2022.08.29 By전북넷 Views104
    Read More
  4. 부안 변산반도 적벽강 · 하섬전망대

    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30번 국도 변산해변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 부안청자박물관 - 내소사 - 채석강을 거쳐 적벽강에 도착했다. 부안 채석강과 적벽강 일원은 과거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곳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쌓인 퇴적층이 강한 파도와 바람의 영향...
    Date2022.08.29 By전북넷 Views105
    Read More
  5. 천년고찰 부안 능가산 내소사

    부안의 변산반도 해안도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에 수많은 고승대덕 스님들을 배출한 호남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제 사찰인 부안 능가산 내소사를 들렸다. 부안 여행을 계획하고 있거나 여행중 이라면 내소사는 여행 코스중 빠질 수 없는 꼭 가봐야 할 곳이다. 내...
    Date2022.08.27 By전북넷 Views129
    Read More
  6. 부안향교

    홍살문을 지나 200여미터 올라가면 우측에 부안향교 주차장이 나온다. 위 사진들은 부안향교 주차장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좌측에 보이는 단칸문인 출입문 우측 담장 앞으로 현감과 교수들의 공덕을 기리는 많은 비석들이 옮겨져 세워져 ...
    Date2021.12.08 By전북펜션넷 Views117
    Read More
  7.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705번국도에서 개암사로 가는 길인 736번도로로 들어서면 우측에 구암리 지석묘군 안내표지판이 보이고 300여미터정도 들어가면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이 있다. 7월 25일 찾은 구암리 지석묘군에는 활작 피어 있는 배롱나무가 찾는 이들을 반겨주고 있다. 주차...
    Date2021.12.08 By전북펜션넷 Views108
    Read More
  8. 백일홍 활짝 핀 천년사찰 부안 능가산 개암사

    부안 능가산 천년사찰인 개암사(주지 종고스님)에 지난 주말(7월 24일) 10여년만에 들렸다. 개암사 곳곳에 화사하게 핀 배롱나무꽃이 여름의 정취를 물씬 풍기고 있다. 배롱나무는 백일이나 피는 꽃의 끈기를 상징적 의미로 서원이나 사찰 앞마당에 심었다고 ...
    Date2021.12.08 By전북펜션넷 Views1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